러시아는 거대한 에너지 및 식량 국가다. 석유. 천연가스, 곡물, 비료 등이 풍부하다. 세계 최대 천연가스 수출국이고 세계 두 번째 석유 수출국이다. 세계에서 가장 큰 밀 수출국이자 비료의 주요 생산국이다. 전 시상황에서 에너지와 식량을 충분히 갖고 있다는 것은 확실히 유리할 것이다. 러시아 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식량을 “무기 화” 했다.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“적대 국으로의 식량 수출에 신중해야 한다” 면 서 식량 수출을 적대국 통제에 이용하고 있다. 동시에 우크라이나의 농업 기반을 파 괴 중이다.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을 막기 위해 흑 해까지 봉쇄하고 있다. 이렇게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에다 급격한 기후변화까지 겹 치면서 국제 곡물가격은 폭등세다. 유엔 식량농업기구(FA0)가 발표하는 세 계식량물가지수는 연일 사상 최고치다. 곡 물가격 상승이 물가를 부추기는 “애그플레 이션”까지 일어나면서 식량 위기는 현실화 되는 분위다. 세계식량계획(WFP)은 아프 리카 등 저소득국 4000만 명 이상이 심각 한 굶주림으로 고통받고 있으며, 전쟁이 계 속되면 앞으로 3억 명 이상이 기아에 시달 릴 것으로 예측했다. 상황이 심상치않게 돌 아가자 세계 각국은 “식량 안보”를 내세우 며 “식량 수출문”을 걸어 잠그고 있다. 곡 물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들은 직격탄을 맞았다. 세계 5위 곡물 수입국인 한국은 타 격이더 크다. 한국의 곡물 자급도는 20% 정도에 불과하다 곡물의 80%를 해외에의 존해야 한다는 뜻이다. 물론 한국만이 “가지지 못한 나라”는 아 니다. 이스라엘이나 스위스도 비슷하다. 그 러나 이들 국가들은 한국과는 다른 점을 가지고 있다. “식량 안보”에 목숨을 걸고 있는 나라들이다. 이스라엘의 경우, 국토의 60%가 사막이 지만 식량 자급률은 90% 이상이다. 이스라 엘은 첨단기술을 활용해 메마른 땅에서 농 업에 성공했다. 예를 들면 “물방울 관개” 가 있다. 물을 작물 위에 뿌리는 대신 파이 프를 이용해 뿌리 부분에만 물방울을 떨 어뜨리는 방식이다. 뿌리에만 필요한 수분 을 공급해 각종 농작물을 재배한다. 식량 안보를 총괄하는 조직인 “비상 식량 공급 국”(Emergency Food Supply Agency)도 만들었다. 국방부 산하에 있는 이 조직은 총리의 직접 통제를 받는다. 스위스는 산악국가여서 농업에 적합하지 않지만 식량 자급률은 50%에 달한다. 유제 품 및 축산농업에선 100% 자급률을 달성 했다. 2017년 스위스 정부는 헌법에 식량 안보 조항을 추가했다. 민간기업들에게 식 량을 비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. 대신 세 금 혜택, 우대금리 등을 제공한다. 중국 역 시 식량 안보에 총력을 쏟는 나라다.”민이 식위천”(民以食爲天 :백성에게 밥이 하늘 이다) 이라는 말이 있듯이, 5000년 중국 역 사에서 수많은 왕조들이 “밥 그릇” 때문에 무너졌다. 따라서 “식량 안보” 확보는 중국 공산당의 최우선 과제다. 그러나 중국은 세계 최대 인구대국이고 1인당 평균 경작지도 상당히 적다. 그럼에 도 중국은 세계 전체 식량의 약 4분의 1을 생산한다. 기술집약 영농이 효과를 내고 있 는데다 농민 지원금도 상당해 농업기반이 튼튼한 덕분이다. 올해만 이미 300억 위안 (약5조5000억 원)이 넘는 돈을 농민들에게 풀었다. “식량세계대전” 이 시작됐다. 총성. 포성만이 들리지 않을 뿐이다. 그런데 한국 은 “강 건너 불구경” 이다. 한국은 “식량 안 보” 라는 단어만 알고 있을 뿐, 절실하게느 끼지 않는다. 식량을 국가생존과 관련된 중 요한 항목으로 생각하지 않는 분위기다. 한 마디로 위기감이 부족하다. 곡물자급률 제고 전략으로 역부족이다. 이스라엘, 스위스, 중국 같은 국가들처럼 명확한 정책을 내놓지 않는 한 아무것도 변하지 않을 것이다. 머뭇거릴 시간이 없 다. 하지만 새 정부의 농업정책은 전임 정 부와 별반 다를 게 없는 것 같다. 이래가지 곤 식량무기화 시대를 헤쳐가지 못한다. 돈 을 줘도 식량을 사올 수 없는 상황이 발생 할 수 있다. 명심하라, 세상에서 가장 무서 운 무기는 핵무기가 아니고 식량이다. 새 정부는 보다 절박한 심정으로 혁신적인 농 업정책 구상에 명운을 걸어야 한다. <저작권자 ⓒ 아산미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>
댓글
|